• HOME
  • 학과HOME
  • FACEBOOK
  • Instagram
공연영상학부
공연영상학부
  • 학부소개
    • 학부장소개
    • 외래교수소개
    • 학부개요
    • 전공소개
    • – 공연예술전공
    • – 영상미디어전공
    • 전공역량체계
  • 교육과정소개
    • 공연예술전공
    • 영상미디어전공
  • 교수별소개
    • 교수소개
  • 입시정보
  • 커뮤니티
    • 학부공지
    • 학생활동
    • 공연소식
    • 홍보영상
    • 정보광장
메뉴
  • 학부소개
    • 학부장소개
    • 외래교수소개
    • 학부개요
    • 전공소개
    • – 공연예술전공
    • – 영상미디어전공
    • 전공역량체계
  • 교육과정소개
    • 공연예술전공
    • 영상미디어전공
  • 교수별소개
    • 교수소개
  • 입시정보
  • 커뮤니티
    • 학부공지
    • 학생활동
    • 공연소식
    • 홍보영상
    • 정보광장

HOME   >   교육과정소개   >   공연예술전공

교육과정소개

  • 공연예술전공
  • 영상미디어전공

공연예술전공

3333333

학년 학기 1학기 2학기 비고
과정 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교과목명 학점 시간
1 기초선택 기초연기
보컬트레이닝
기초컴퓨터
2
2
2
3
3
3
기초연기워크숍
에쭈드실습
기초촬영과 편집
2
2
2
3
3
3
2 전공선택 중급연기워크숍
호흡과발성
뮤지컬보컬
씨어터댄스
미장센세미나
공연기획
영상과미디어아트
3
2
3
2
2
2
3
4
3
4
3
3
2
3
고급연기워크숍
화술워크숍
뮤지컬연기
무브먼트
연출세미나
공연기획세미나
3
2
3
3
2
2
4
3
4
4
3
2
3 전공선택 한국무용
무대기술
시창청음
퍼포밍아트워크숍
연극교수학습방법
매체기법연구
2
2
2
3
2
3
3
3
3
4
2
3
한국춤레퍼토리
무대메커니즘
프로덕션워크숍
작곡세미나
연극사연구
매체기법세미나
매체연기
2
2
3
2
2
3
2
3
3
4
2
2
3
3
4 전공선택 연극교육프로그램개발
작품실습(캡스톤디자인1)
2
3
3
4
연기메소드워크숍
작품제작(캡스톤디자인2)
2
3
3
4

♠ 교육과정은 일부 변경 될 수 있음

  • ▸기초연기 (Basic Acting)

    무대 공간에서의 진실 된 표현이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스스로 체험해 봄으로서 상투적인 표현 습관에서 벗어나 배우자신의 고유한 정서와 표현의지를 경험한다.

  • ▸보컬트레이닝 (Vocal Trainning)

    뮤지컬의 주요 요소인 음악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추기 위한 이론 공부와 실기 훈련이 병행된다. 음악이론과 음악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쌓고, 시창과 청음 훈련을 통해 악보를 정확히 읽으며 음감을 익히도록 한다.

  • ▸기초컴퓨터 (Basic Computerl)

    배우영상을 만드는 데 있어 기본이 되는 프로그램들을 배운다. Photoshop, Illustrator 기본과정과 응용과정까지 학습하면서 영상적인 이미지들을 가공하고 편집하는 기술을 익힌다.

  • ▸기초연기워크숍 (Basic Acting Workshop)

    워크숍을 통해 배우 자신의 고유한 정서와 표현의지를 무대 위에서 나타내는 과정을 함께 만들어 간다. 제작실습 과목으로 연극, 뮤지컬 작품 제작 실습에 참여한다.

  • ▸에쭈드실습(Etude Training)

    연기력, 창조력, 상상력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수업이다. 에쭈드는 배우가 창조의 주체가 되어 구체적이며 극적인 상황을 설정하고, 사건을 발생시켜 등장인물 간의 갈등을 만들고, 끊임없는 상호 교류를 끌어내고, 새로운 상황으로 결론짓도록 구성하는, 잘 짜여진 즉흥 상황극이다.

  • ▸기초 촬영 및 편집(Basic Filming & Editing)

    영상제작에 필요한 영상편집과 촬영기술을 배운다. 기초 촬영기법 과정에서 인물과 공간의 구도, 화면의 구성과 조명과의 관계, 빛의 노출과 공간의 문제 등을 다루게 된다. 이러한 촬영을 기본으로 일대일 대화 편집, 180도의 법칙, 인물과 동선의 블록킹 등 이야기 전달을 위한 기본적인 영상편집을 배운다. Premiere, After Effects 등

  • ▸뮤지컬보컬(Musical Vocal)/뮤지컬연기(Musical Acting)

    보컬은 다른 악기들과는 다르게 기본적인 악기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 속의 공명을 사용하고, 여러가지 테크닉에 음악적 표현법이 더해져서 아름다운 소리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대사의 올바른 전달과 연기자의 연기를 왜곡없이 전달하기 위한 발성과 호흡연습, 소리내기와 딕션 훈련을 종합에술인 뮤지컬에 응용하여 더욱 쉽게 이해하고 참여하도록 하여 개인의 역량을 끌어내는 것이 목표이다.

  • ▸중급연기워크숍(Middle class Acting Workshop)

    기초 과정을 거친 학생들에게 실제 공연이나 촬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연기의 중간 과정으로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하여 각 상황을 분석하고 연기를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워크숍을 통해 실제 공연이나 촬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연기를 실습한다. 제작실습 과목으로 연극, 뮤지컬 작품 제작 실습에 참여한다.

  • ▸고급연기워크숍(High class Acting Workshop)

    중급 과정을 거친 학생들에게 실제 공연이나 촬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연기의 고급 과정으로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하여 각 상황을 분석하고 연기를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워크숍을 통해 실제 공연이나 촬영에 필요한 전문적인 연기를 실습한다. 제작실습 과목으로 연극, 뮤지컬 작품 제작 실습에 참여한다.

  • ▸호흡과발성(Breathing and Vocalization)/화술(Speech)

    호흡과발성은 배우로서 말하기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의 첫걸음으로 우선 숨쉬기와 소리내기의 원리를 이해시키고 그 방법을 터득한다. 다음으로 무대에서 자연스럽게 파트너와 교감하며 말하기를 훈련한다. 배우의 정서를 어떻게 말 속에 담을 것인지, 또 그 정서를 어떻게 언어로써 파트너에게 전달하여 교감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훈련한다.  워크숍을 통해 배우로서 말하기의 두 번째 단계로 텍스트 분석을 통한 말하기를 훈련한다. 기존 여러 수업을 통해 훈련된 텍스트 접근법을 바탕으로 ‘배우에게 이해된 텍스트의 내재된 의미와 정서를 어떻게 언어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훈련을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쓰는 텍스트적 언어 이외의 다양한 배우 언어를 습득하여 연기술의 폭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훈련한다.

  • ▸씨어터댄스(Theater Dance)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감정과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뮤지컬 공연에 적합한 신체를 만든다. 뮤지컬의 대표적인 안무스타일에 대한 공부가 선행될 것이며, 기초적인 신체 훈련, 발레와 현대무용 등의 기본기를 익히게 될 것이다. 현대의 다양한 뮤지컬, 연극, 퍼포먼스에서 가장 폭넓게 사용하는 현대무용을 응용한다.

  • ▸무브먼트(Movement)

    무브먼트 훈련을 통해 자유로운 움직임을 펼치는 신체를 만들어서 뮤지컬, 연극 영화, 드라마 등의 다양한 장르에 조화롭게 응용하여 활용한다.

  • ▸미장센세미나(Mise-en-scene Seminar)

    미장센 창출의 창작과정을 학습한다. 주어진 공간에서 사건에 부합하는 창의적인 미장센 창출을 학습한다. 연출의 창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쟁점들을 토론하고 연출이 직면하는 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을 던져 문제해결을 도모한다.

  • ▸연출세미나(Direcion Seminal)

    연출세미나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연출법을 학습한다.(희랍극, 사실주의극, 서사극, 부조리극 등)

  • ▸공연기획(Public Performance Planning)

    공연기획이란 공연/콘서트 예술의 기획, 경영, 마케팅, 연출, 무대, 조명, 음향, 에이전시, 극장관리 등총괄적인 계획수립과 모든 집행 과정을 말하며, 생산자인 공연/콘서트 예술가의 공연 작품을 보다 광범위하고 적극적인 수단으로 수용자인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이에 대해 학습한다. 세미나를 통해 공연기획 전반에 대하여 학습하고 토론하여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실습한다.

  • ▸연극교육론(Drama Education Theory)

    본 교과는 2급 문화예술교육사의 직무역량 교과목으로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 전반에 대한 이해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인 연극놀이를 체험하고, 교육과 연극의 연계성, 연극교육의 의미와 목적, 연극교육과정의 발달사를 통해 연극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다. 또한 문화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연극교육을 위한 자신의 교육철학을 형성하고, 전문적인 연극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연극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의 기본이 되는 연극놀이를 실습하여 문화예술교육사로서 정체성을 정립하도록 돕는다.

  • ▸영상과미디어아트(Moving image and media)

    현대의 다양한 미디어 아트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창의적인 구현 방안을 습득하는 과정이다.

  • ▸한국무용(Theory of New media Arts)

    한국 고전무용과 전통양식을 배워, 현대공연예술의 내용에 한국적 양식을 접목시키는 공연형식에 대한 연구에 집중한다.

  • ▸한국춤레퍼토리(Korean traditional dance Rapertory)

    워크숍을 통해 컨템포러리 공연예술에 전통양식이  어떻게 변형되어 발전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와 함께 몸의 움직임과 공간활용능력을 전통양식을 통해 배운다.

  • ▸무대기술(Stage technology)/무대메커니즘(Stage mechanism)

    무대현장의 제작시스템과 기능을 연마하는 과목이다. 1차적으로는 도면훈련 및 재료의 사용 그리고 제작에 관한 기술을 습득하고, 2차적으로 무대공간에 적용시키기 위한 극장구조에 관한 이해와 각 분야의 역할과 임무를 숙지하며, 3차적으로는 그를 어떻게 매체와의 접목을 통해 극 공간에 표현할 것인지를 탐구하는 실습 중심의 과목이다.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것을 빛과 색으로 표현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부분의 활용을 탐구하는 극장 및 스튜디오에서의 체험 중심의 실습과목이다.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분석, 극공간에 관한 인문적인 접근과 표현술의 개발, 각 영역과의 협동과 응용을 통해 새로운 공간의 가능성을 실험하고 확장시키는 과목이다.

  • ▸퍼포핑아트워크숍(Performing art Workshop)/프로덕션워크숍(Theater Workshop)

    공연의 전반적인 제작실습 과목이다. 연극, 뮤지컬로 나누어서 팀 별로 실습한다. 워크숍을 통해 팀 별로 작품을 정하고 프리프로덕션, 메인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을 학습한다.

  • ▸연극 교수학습방법(How to teach and learn Drama)

    본 교과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연극교육을 실행할 때 효과적인 ‘학습’이 발생할 수 있도록 준비, 계획, 실행(수업), 평가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교수능력을 지닌 예술교육전문가의 역량강화를 위한 과목이다. 이를 위하여 ‘교수’와 ‘학습’이 이루어지는 조건과 과정을 파악하고, 다양한 목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전략들을 이해한 뒤, 직접 자신의 연극수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모의 실행해 봄으로써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매체연기(Acting for camera)

    카메라 액팅의 기본기를 즉흥극과 씬 연구를 통해서 익히며, 기본 개념을 습득한다.  다양한 매체에 적합한 효과적인 연기기술을 익히는 과목이다.(영상과목의 매체실습 수업과 미장센에 대해 서로 연계 수업 가능)

  • ▸매체기법연구(Media facade studio)/매체기법세미나(Media facade studio seminar)

    프로젝터를 활용한 맵핑 기법수업. 미디어 파사드와 공연컨텐츠 제작의 기초과정. 대본과 시나리오를 공연화하였을 때 필요한 영상의 공간감각을 익힌다. 사각형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영상 프레임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매체기법세미나는 프로젝터를 활용한 맵핑 기법수업 심화과정. 미디어 파사드와 공연 컨텐츠 제작의 중급과정. Xbox카메라, 센서 등을 활용, 무대 위에 가능한 메커니즘과 함께 미디어 파사드와 매체를 결합하여 확장시킨다.

  • ▸시창청음(Sight Singing & Ear Trainingo)

    악기의 도움 없이 악보를 보고 정확히 노래할 수 있는 능력과 음을 듣고 악보에 적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훈련에 주력한다.

  • ▸작곡세미나(Composition Seminar)

    이론과 실기과목을 접목시켜 실제적인 작곡 수행에 많은 비중을 두어 서양과 우리나라의 다양한 음악어법과 인론을 배우며 연구한다. 지속적인 창작연습을 통하여 작곡 실무 작업에 요구되는 창의적인 사고와 기술적 연마를 습득한다. 화성학을 기본으로 하고, 현장의 음악감독이 직접 작곡과 편곡을 수업한다.

  • ▸작품실습(캡스톤디자인1)(CapstoneDesign – Workshop1)작품제작(캡스톤디자인2)(CapstoneDesign – Workshop2)

    캡스톤디자인 – 작품실습, 작품제작은 현장에서 필요한 작품을 실습하고 제작하는 실제적인 교과과정이다. 공연 전공 학생들과  영상미디어 전공학생들의 공통과목이다.

  • ▸ 연기메소드워크숍(Method of the Acting, Method of the Actiong Workshop)

    배우의 구조, 연기의 원리, 연기의 속성, 연기의 요소 등을 연구하고 각 예술장르별(매체연기, 무대연기, 무용연기 등) 연기형식을 분석한 후, 궁극적으로 현대의 연기방법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또한 뮤지컬 보컬 고급과정, 실전훈련을 통한 무대감각과 보컬 테크닉을 배운다. 전 곡을 다 소화할 수 있는 곡 해석과 가창실력을 연마하고 뮤지컬 전공 졸업작품을 위한 실기지도 지원 과목이다.

 

메뉴 메뉴열기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공연영상학부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 : 031-839-9154   위치 : 우) 11307 경기도 동두천시 평화로 2741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Copyright © 2015 by DONGYANG UNIV. All Rights Reserved.

  • 건축소방안전학과
  • 경찰범죄심리학과
  • 경찰행정ㆍ범죄심리학과
  • 국제경영학과
  • 도시ㆍ부동산학과
  • AI융합사회복지학과
  • 사회복지학과
  • 항공서비스학과
  • 항공IT학과
  •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철도운전관제학과
  • 철도운전제어학부
  • 철도경영학과
  • 철도운전제어학과
  • 철도차량시스템학과
  • 철도운전ㆍ전기신호학과
  • 철도관제정보학과
  • 간호학과
  • 디지털콘텐츠학과
  • 생활체육학과
  • 유아교육과
  • 보건의료행정학과
  • 의무군사학과
  • 정보통신군사학과
  •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스마트건축공학과
  • 스마트기계공학과
  • 자율주행안전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공공인재학부
  • 도시철도시스템학과
  • 게임학부
  • AI빅데이터융합학과
  • 웹툰애니메이션학과
  • IT융합경영학과
  • 스마트안전시스템학부
  • 디자인학부
  • 공연영상학부
  • 동두천 캠퍼스
  • 동양대학교 대학원
  • 동양대학교 입학홍보처
  • 산학협력단
  • 본교(영주)캠퍼스 생활관
  • 동두천 캠퍼스 생활관
  • e클래스
  • 동양대학교 발전기금
  • 웹오피스
  • 학사인트라넷
  • 공무원사관학교
  • 인터넷증명발급
  • 학술정보원
  • 웹메일
  • C&M
  • 한국학센터
  • 어학교욱원
  • 철도사관학교
  • 미래교육혁신원
  • 국제교류처
  • 학생상담센터
  • 한국선비연구원
  • 인권센터